|
 |
|
↑↑ 4월 28일(월) 올해 첫 「파워풀 대구 청렴 간부회의 |
|
[대구_경상도뉴스=김재중기자] 대구광역시는 올해 국민권익위원회 주관 공공기관 종합청렴도 1등급 달성을 목표로 3대 전략, 25개 정책과제로 구성된 ‘2025년 반부패 청렴정책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본격 추진한다.
대구시는 4월 28일 김정기 대구광역시장 권한대행 주재로 올해 첫 ‘파워풀 대구 청렴간부회의’를 개최하고 청렴도 향상을 위한 정책을 실·국장 등 고위직 간부와 함께 논의했다.
‘2025년 반부패 청렴정책 종합계획’은 지난해 종합청렴도 평가결과와 전 직원 대상 부패 취약분야 실태조사, 청렴 민·관실무지원단 의견수렴, 청렴도 우수기관 벤치마킹 결과 등을 분석해, 3대 전략, 25개 세부과제로 추진하며,
특히, 올해는 지난해 하락한 외부체감도 향상을 위한 공사·용역분야 민원 응대 등을 집중 개선하고, 고위직 주도의 청렴도 향상 시책 추진으로 정책의 실효성을 제고할 계획이다.
추진전략별 세부과제는 아래와 같다.
첫째, ‘청렴정책 추진 체계 확립’을 위해 세부적으로 7개 시책 과제를 수립했다.
먼저 지난해에 이어 청렴정책 컨트롤타워 기능을 하는 파워풀 대구 청렴간부회의를 운영한다.
청렴간부회의는 시장 권한대행 주재로 실·국·본부장 등 고위직이 참여해 청렴정책 추진계획과 추진상황을 점검하며, 올해는 부패취약분야 개선과제를 집중적으로 논의한다.
또한, 실·국·본부장 청렴책임제 운영을 통해 고위직 주도하에 각 부서별로 부패취약분야와 연관된 중점 개선과제를 자율적으로 선정해 추진한다.
둘째, ‘부패인식 개선, 반부패 규범의 실효적 정착’을 위해서는 10개 세부 시책 과제를 추진한다.
부패행위 근절을 위해 지난해 시행한 ‘건설·용역 보조금 분야 비리 원스트라이크 아웃제’를 지속 시행하여 부패행위 확인 시 무관용 원칙을 적용한다.
종합청렴도 측정대상 업무*인 ‘공사용역 등 외부민원 대상 클린콜 운영’을 강화해, 불만족 민원에 대한 원인을 파악하고, 소관부서와 감사위원회의 적극적인 개선을 통해 불만족을 해소하여 외부 청렴인식을 개선한다.
또한, 올해에는 ‘건설관계자 및 공사감독 청렴소통 간담회’, ‘공사현장 특정감사 시 현장 청렴교육’ 등을 새롭게 추진해 공사·용역 내·외부 관계자와의 적극적인 소통을 통해 반부패법령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외부청렴도 향상에 노력할 계획이다.
셋째, ‘공직 혁신, 청렴한 조직문화 확산’을 위해서는 세부적으로 7개 시책 과제를 수립했다.
‘공직사회 갑질·직장 내 괴롭힘 완전 근절’을 위해, 갑질 사건 발생 시 1회 적발만으로도 강력한 징계조치를 취하는 등 문책기준을 엄격하게 적용하고, 정기적인 실태조사 및 부서장급 예방교육 강화 등을 통해 갑질 관행을 뿌리 뽑고 직원 모두가 편안하게 업무에 집중할 수 있는 근무환경을 조성한다.
‘감사위원장이 찾아가는 청렴 컨설팅’을 통해서는, 외부청렴도와 연관된 공사·용역·보조금 관련부서, 자체청렴도 측정 결과 하위 부서 등에 대해 감사위원장이 현장의 의견을 청취하고 맞춤형 컨설팅을 진행하여 청렴한 조직문화 조성에 앞장설 계획이다.
김정기 대구광역시장 권한대행 행정부시장은 “대구시는 그간 청렴도 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정책 추진으로 청렴도 하위기관에서는 완전히 벗어났다”며, “올해는 지난해 다소 미흡했던 외부체감도 향상에 집중하여 종합청렴도 상위기관으로 재도약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국민권익위 공공기관 종합청렴도 평가는 매년 700여 개 공공기관의 종합적인 청렴수준을 정량·정성평가 및 내·외부 설문조사 등을 통해 평가해 1등급~5등급을 부여하며, 대구시는 2023년 광역지자체 중 최상급인 2등급의 평가를 받았으나, 지난해에는 3등급의 평가를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