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부산광역시의회 서지연 의원 |
|
[부산_경상도뉴스=김재중기자]부산시의회 서지연 의원(행정문화위원회)이 15일 열린 제330회 임시회 5분 자유발언에서 가덕도 신공항 사업에서 현대건설의 철수에 대해 강력하게 비판하며, “공공의 책임은 선택이 아니라 의무”라고 단호히 밝혔다.
서 의원은 이날 발언을 통해 현대건설의 ‘이익 우선주의’ 행보를 정면으로 비판하며, “참여할 때는 시민의 꿈을 함께 말하더니, 빠질 때는 손익계산서 한 장이면 충분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기업의 시장 논리와 경영상 판단은 충분히 존중받아야 한다. 그러나 공공을 앞세워 진입하고, 수익이 낮다며 공공의 이익에 손해까지 끼치고 떠난 행위는 결코 가볍게 넘길 수 없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서 의원은 현대건설이 약 1조 7백억 규모의 고리 1호기 원전 해체 사업과 같이 고수익이 예상되고 550조원의 해외시장을 겨냥할 수 있는 분야에 집중하고 지분 30%를 가진 벡스코 제3전시장 건설에는 집중하는 반면, 가덕도 신공항 사업에서는 손을 뗀 점을 지적했다. 이어 그는 “이것은 합리적 기업의 선택이 아니라 명백한 ‘우선순위 철학’의 문제”라 밝혔다.
서 의원은 현대건설의 철수가 부산시의 신뢰도와 대외위상을 흔든 부정적 파장도 짚었다. “20년 만에 확보한 가덕신공항 착공 예산은 새 정부 추경에서 대폭 삭감됐고, 소모적인 정쟁과 갈등의 도구로 악용되는 등 시민의 불안을 이끌었다. 이뿐만 아니라 컨소시엄 지분에 따라 공동부담한 설계비 600억원의 보유 권리 포기는 지역업체에게 고스란히 부담된다는 지적도 있다.”며 우려를 표했다.
서 의원은 이번 사안을 두고 공공사업을 대하는 기업의 태도와 중앙정부의 대응 원칙이 시험대에 오른 사례라 밝히며 “중앙정부는 지역의 미래를 지키고, 부산시는 지방정부로서 지켜야 할 최소한의 원칙과 자존을 되살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 의원은 부산시가 새로운 파트너와 함께 가덕신공항 사업을 반드시 추진해야 하며, 이번 사태를 계기로 공공책임에 대한 기준을 다시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공공의 책임을 다한 기업은 기억되고, 기회를 얻어야하지만 책임을 저버린 기업은 기록되고 조치 받아야 한다˝며, ˝공공사업에 대한 책임을 명확히 하여 부산의 품격과 시민의 신뢰를 지키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