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회사 경상도뉴스=김재중]
한국의 21대 대선에서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의 정치인들이 보여주고 있는 염치를 구분해 분석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국민의힘의 정치인 염치
갈등과 책임 회피: 국민의힘의 정치인들은 내부 갈등과 책임 회피의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윤석열 전 대통령의 탄핵 이후 여전히 당 내부에 친윤과 반윤 간의 갈등이 존재하고 있으며, 이는 당의 단결을 약화시키고 있습니다. 이러한 내부 분열은 정치인들이 염치를 지키지 않는 한 예가 될 수 있습니다. 공당의 대표로서 자신들의 책임과 역할을 다하지 않고 상대당과의 공방에만 집중하는 모습은 비판받고 있습니다.
정치적 발언의 신중함 부족: 국민의힘 정치인들은 상대방에 대한 공격적인 발언을 남발하면서 자신의 발언이 국민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대한 염치가 결여된 모습입니다. 선거 기간 동안 서로의 비난과 조롱이 오가며 구체적인 정책보다 정쟁에 집중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궁극적으로 유권자들에게 실망감을 안길 수 있습니다.
후보 난립과 방향성 부재: 국민의힘 내부에서는 여러 후보들이 출마를 선언하며 대선 경선이 혼란스러운 상황입니다. 유력 후보가 부족한 상황에서, 방향성을 잃고 각자 자리를 차지하기 위한 경쟁을 벌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모습은 정치인들이 염치있게 유권자들에게 진정성을 가지기보다 개인의 이익을 우선시하는 경향으로 비춰질 수 있습니다.
더불어민주당의 정치인 염치
소통과 반성의 태도: 더불어민주당은 상대적으로 과거의 실수를 반성하고, 유권자와의 소통을 중요시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재명 전 대표는 탄핵을 끝낸 공당 후보로서, 국민과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자신의 정치적 입장을 신중하게 조정하며 염치를 지키려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나 많이 부족합니다.
정책 중심의 접근: 민주당 정치인들은 정치적 선동이 아닌 정책 중심의 접근을 시도하고 있습니다. 특히 경제와 사회적 이슈에 대한 실질적 대안을 제시하며, 유권자들에게 신뢰를 구축하고자 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정책 중심의 접근은 염치 있는 태도로 강조될 수 있습니다.
상대에 대한 비판의 적절함: 공당의 입장에서 상대 정당에 대한 비판을 일삼는 것이 압도적으로 나타나고 있지만, 민주당은 비판에 신중하게 접근하고 있습니다. 그들은 정권 교체와 헌정 질서 수호라는 대의를 위한 공당의 면모를 잃지 않고 있는것 같습니다.
결론적으로, 국민의힘은 염치가 결여된 정치적 갈등과 분열 속에서 방향성을 잃고 있으며, 더불어민주당은 상대적으로 정책 중심적이고 반성적 태도를 보여주며 유권자와의 신뢰를 구축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각 당의 정치인들이 염치를 얼마나 확립하고 소통하느냐가 향후 선거에서 중요한 변수가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