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정치

“우리도 지원 필요한데...” 부산의‘끼인세대’목소리 냈다

경상도뉴스 기자 입력 2024.07.04 13:15 수정 0000.00.00 00:00

부산시의회, 부산시, 부산연구원 `부산시 끼인세대 지원 시책 발굴 간담회 `개최

↑↑ 간담회 개최 사진
[부산_경상도뉴스=김재중기자]“끼인세대가 청년세대의 롤모델이 되어야 한다. 끼인세대가 부산에서 행복하게 사는 모습을 보여줘야 청년들이 부산에서 가정을 이룬다. 지금의 청년정책으로는 청년들을 부산에 붙잡아 둘 수 없다”, “무자녀나 2자녀 가정보다는 1자녀 가정이 아이를 더 낳을 가능성이 높을 수 밖에 없다. 1자녀 가정에 대한 출산·육아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 “이 자리에서 다른 분들의 발언을 듣고서야 그동안 내가 몰라서 못 받았던 혜택이 많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됐다. 새로운 시책 발굴도 중요하지만 부산시 홈페이지 개편을 통해 정보 접근성을 높여야 한다”

7월 3일 오후 ‘부산시 끼인세대 지원 시책 발굴 간담회’에 모인 20명의 끼인세대들이 그동안의 섭섭함과 요구들을 쏟아냈다.

이날 간담회는 작년 부산시의회 김태효의원(국민의힘, 재송1·2동, 반여2·3동)이 발의하여 제정된 `부산시 끼인세대 지원 조례`에 따른 ‘부산시 끼인세대 지원 종합계획’에 반영될 시책들을 수혜당사자들로부터 직접 찾아보고자 개최됐다. 끼인세대에 해당하는 시민 20명, 부산시의회 김태효의원, 반선호의원(더불어민주당, 비례), 부산시 김영심 일자리노동과장, 부산연구원 최청락 책임연구원 등이 참석했다.

그동안 끼인세대(35세~54세)는 청년과 노년층에 관심이 집중되는 동안 정책적으로 소외돼왔다. 자녀양육과 부모부양이라는 이중부담과 동시에 자신의 노후까지 준비해야 하는 상황이지만 정작 이들을 직접 지원하는 시책은 없다시피 했다. 실제 우리 사회를 지탱하고 이끌어가는 주력인 이 계층에 대한 정책적 배려를 더 이상 늦출 수 없다는 목소리가 높다.

본격적인 간담회에 앞서 인사말에서 김태효의원은 “나도 끼인세대다. 내 스스로 느껴왔고 주변 사람들로부터 들었던 경험들이 끼인세대 지원 조례 발의의 계기였다”며 “거창하고 큰 사업이 아니라도 좋다. 당장 생활 속에서 우리 끼인세대에게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우리가 직접 찾아보고자 이 자리를 마련했다”고 간담회의 취지를 설명했다.

간담회에 참석한 끼인세대 시민들은 각자 자신의 직업, 생활여건, 관심분야 등에 따라 다양한 의견들을 내놓았다.

이직을 고민 중이라고 밝힌 30대 후반 A씨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이직 지원 프로그램은 내용이나 운영시간 측면에서 퇴사 이후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실질적인 이직 지원 프로그램은 재직 중에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했다.

워킹맘 40대 B씨는 “끼인세대는 가족과 함께할 시간이 부족하다. 퇴근 후 저녁시간이나 주말을 가족들과 함께 즐길 수 있는 프로그램이 많아졌으면 좋겠다”고 제안했다.

이어서 40대 C씨는 “내가 청년인 시절에는 지금과 같은 청년지원이 없었고 지금 끼인세대가 되어 보니 끼인세대는 정책적으로 소외되고 있다. 부산시가 시행하는 청년문화패스라던가 청년자산형성통장 같은 지원들을 부럽고 섭섭한 심정으로 보고만 있어야 했다” 면서 “현재 연령대별로 구분되어 있는 지원시책들을 나이와 상관없이 통합해 시행하는 것을 검토해 달라”고 요청했다.

실제 당사자가 아니면 떠올릴 수 없는 구체적인 사례와 아이디어들도 나왔다. 최근 창업을 한 40대 D씨는 “실제 창업을 해보니 하나부터 열까지 어렵지 않은 것이 없다. 시에서 운영하는 창업교육을 받아봤지만 어디서나 얻을 수 있는 일반적인 내용들밖에 들을 수 없었다. 실제 창업과 창업 이후 운영에 관한 구체적이고 전문적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다른 참석자들은 “예를 들어 다자녀의 경우 아이 하나가 아프면 모든 아이들을 다 데리고 병원에 가야 하더라. 임산부 전용 주차장과 같은 다자녀 전용 주차장도 필요하다”, “남자인 내가 육아휴직을 해보니 회사에 눈치가 많이 보인다. 아빠들이 마음놓고 육아휴직을 할 수 있도록 출산·육아 시간 보장에 적극적인 기업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는 실제 체험에서 나온 제안들과 그밖에 ‘끼인세대 전용카드 발급’, ‘끼인세대 동백전 혜택 확대’, ‘60세 정년보장 기업에 대한 파격적인 지원’ 같은 다양한 의견들이 나왔다.

또 이색적이고 참신한 주장들도 나와 눈길을 끌었다. “아예 하루를 ‘끼인세대의 날’로 제정해 이날 끼인세대 박람회를 개최해 보는 것도 좋겠다. 자녀교육, 금융 컨설팅, 노후준비 등과 같은 끼인세대가 관심있는 분야의 정보도 얻고 끼인세대만을 위한 문화행사도 같이 진행하면 호응이 있을 것”이라는가 하면, “전문적인 집정리 컨설팅을 받은 이후 삶의 질이 향상된 느낌이다. 집정리 할 시간이 부족한 끼인세대들을 위해 집정리 지원사업을 시행하면 도움이 될 것 같다”라는 아이디어가 나오기도 했다.

참석자들의 부산시에 대한 쓴소리도 빠지지 않았다. “오늘 이 자리에서 다른 분들이 하시는 말씀을 듣고서야 내가 그동안 몰라서 받지 못했던 혜택들이 많다는 것을 알았다. 정책의 홍수에서 내가 받을 수 있는 혜택을 쉽게 찾을 수 있게 해야 한다. 지금 부산시 홈페이지 기능은 오히려 정보를 차단하고 있다는 느낌이 들 정도로 검색이 어렵다. 전면적 개편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또 “지금 부산의 청년들이 부산시에서 시행하고 있는 청년정책이 좋아서 부산에 남아 있지는 않을 것이다. 부산의 청년정책이 과연 실효성 있는 정책인지 철저하게 평가해봐야 한다” 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날 참석한 김태효의원은 “끼인세대들이 무엇을 원하고 어디가 부족한지 실제 목소리를 직접 들을 수 있어 뜻깊은 자리였다. 오늘 나온 의견들은 끼인세대 지원 종합계획에 녹아들 수 있도록 부산시와 함께 부단히노력하겠다”며 간담회를 마무리 했다.

한편, 김태효의원이 작년 발의하여 제정된`부산광역시 끼인세대 지원 조례`는 부산시가 4년마다 끼인세대 지원을 위해 종합계획을 수립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부산시는 종합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용역을 부산연구원을 통해 진행하고 있으며 오는 10월 나오는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부산시 끼인세대 지원 종합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주식회사 경상도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